
여름철 전국적으로 폭염과 열파가 반복되면서 ‘열사병’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평균·최고기온이 올라가며, 건강을 해치는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이 바로 열사병입니다. 이 글에서는 열사병 증상, 열사병 예방 그리고 실생활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핵심 수칙을 소개해 드릴게요.
1. 열사병이란? – 기본 정의와 위험성
**열사병(heat stroke)**은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될 정도로 우리 몸에 과도한 열이 쌓여 장기기능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매우 치명적인 온열질환입니다. 심할 경우 뇌 손상, 다발성 장기부전,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단 1분의 지체도 용납할 수 없는 응급질환입니다.
- 33~35도 이상의 폭염이 이틀 이상 지속될 때 자주 발생
- 무더운 곳, 실외작업, 체육 활동, 밀폐된 공간에서 특히 많이 발생
- 노인, 어린이, 만성질환자, 야외근로자 등 취약계층에서 빈번
2. 열사병 주요 증상 – 꼭 체크해야 할 경고신호
열사병 증상 | 상세 설명 |
---|---|
체온 40도 이상 | 정상 체온을 크게 초과(39도 이상이면 의심) |
의식 저하·착란 | 몽롱함, 혼란, 인사불성, 경련, 혼수 등 |
피부 뜨겁고 건조 | 땀은 잘 나지 않고 피부가 붉고, 뜨겁고, 건조 |
빠른 맥박·호흡이 얕아짐 | 맥박이 가빠지고,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느려짐 |
두통·어지러움·구역질 | 두통, 어지럼, 구역질, 실신 전조 |
혈압저하·쇼크 | 심하면 쇼크에 빠질 수 있으며, 초응급상황 |
근육경련·경련발작 | 근육경직, 경련 동반 가능, 매우 위급 |
3. 열사병 발생 원인
- 고온·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: 도시열섬, 밀폐된 실내, 공사장, 흰 천장 자동차 내부 등
- 격렬한 야외활동: 스포츠, 박람회, 농사, 군 훈련 등에서 흔함
- 수분·염분 섭취 부족: 땀을 많이 흘리면서도 충분히 수분·전해질을 보충하지 않을 때
- 고령, 영유아, 질병보유자: 체온조절이 어렵고, 탈수 우려가 높은 경우
4. 열사병 예방법 7가지
1) 수분 섭취는 미리미리!
- 갈증이 없어도 30분~1시간마다 물을 자주 마십니다.
- 전해질 음료(스포츠 드링크 등)도 적절히 섭취합니다.
- 카페인·알코올 음료는 피하세요(탈수 촉진).
2) 시원한 환경 유지 & 휴식
- 실내 온도는 26~28도, 습도는 50~60% 유지
- 에어컨, 선풍기, 쿨매트, 샤워, 냉탕 등 최대 활용
- 폭염특보 시 12시~17시 야외외출, 작업 최대한 피하기
3) 적절한 복장 착용
- 밝고 헐렁한 옷, 땀을 잘 흡수하는 기능성 소재
- 외출 시 넓은 챙 모자, 양산, 선글라스 등 햇빛 차단
4) 건강한 식사와 규칙적 생활
- 위생적이고 소화 잘 되는 음식 섭취
- 무거운 육류, 고지방식, 자극적인 음식 절제
- 일정한 취침·기상 습관, 잦은 샤워, 낮잠은 짧게(30분 이내)
5) 무더위 쉼터, 그늘 적극 활용
- 공공 무더위 쉼터(주민센터, 도서관, 지하철 등) 이용
- 야외작업 시 가까운 곳에 그늘·원두막 확보, 주기적 휴식
6) 폭염 취약계층 각별 관리
- 노인·어린이·만성질환자 정기적인 안부확인
- 독거노인, 야외근로자 주변 관심 가지고 냉방·수분 보충 독려
7) 매일 기상정보 체크, 위험시간 관리
- 뉴스, 모바일앱, 기상청 홈페이지 등에서 폭염특보 수시확인
- 폭염경보 시엔 가급적 외출·야외작업 금지
5. 열사병 응급처치 – 골든타임 실천법
-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
- 그늘, 에어컨 실내, 차량 내부, 공공 쉼터 등
- 의복을 풀거나 벗겨 빠르게 체온 내려주기
- 젖은 수건, 분무기로 피부 물 적신 뒤, 선풍기·부채질로 증발 냉각
- 겨드랑이, 사타구니, 목 등 대혈관 부위 아이스팩 대기
- 너무 차가운 얼음보다는 미지근한 수건이 효과적
- 수분 섭취시키기(의식 있는 경우만)
- 이온음료, 소금물 등 전해질 음료 추천
- 의식 없거나 구토·경련이 있으면 먹이지 않음
- 119(응급의료) 즉시 신고, 이송 준비
- 30분 이내 회복 안 되면 반드시 의료기관 이송
- 체온 39도 이하로 하강이 중요
6. 일사병·열사병 차이, 간단 비교
구분 | 일사병 | 열사병 |
---|---|---|
주요원인 | 체온상승+수분/염분 부족 | 심한 체온상승(40도 이상), 체온조절불능 |
증상 | 땀많이, 피부축축, 창백함 | 땀 거의 안남, 피부뜨겁고 건조, 붉음 |
의식 | 멍함·두통, 실신 가능 | 혼란, 경련, 혼수, 의식 잃음 |
대응 | 시원함+수분 보충, 휴식 | 즉시 체온 하강+119 긴급이송 |
7. 열사병에 취약한 고위험군 관리법
- 노인: 체온 감각 둔감, 갈증 안 느끼는 경우 많으므로 규칙적으로 물 권장
- 유아·어린이: 체표면적 커서 더 빨리 열사병 위험, 자주 수분 보충
- 야외 근로자·운동선수: 1시간 작업 후 10분 이상 휴식, 그룹관리
- 만성질환자: 심장, 당뇨, 신장병자는 담당의와 상담하며 관리
결론: 열사병, 빠른 인지와 예방이 생명지킴의 핵심
2025년, 여름은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. 그러나 열사병 증상을 신속히 인지하고, 평소 예방법을 습관처럼 실천한다면 누구나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습니다.
수분 섭취, 시원한 환경, 휴식, 폭염정보 확인, 가족·이웃 돌보기까지, 실전 행동이야말로 내 몸과 소중한 이들의 생명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